민중총궐기 전북대회, 10월 30일 전주에서 열려

by 신발끈 posted Nov 0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오는 11월 14일 서울에서 10만이 모이는 ‘민중총궐기’ 대규모 집회를 선언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도 같은 날 전국농민대회를 선포했다. 이날의 집회를 오천만 민심의 목소리라고 확대 해석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10 대 90의 사회로 접어든 한국사회에서 90% 민중들의 삶이 위협받을 때, 제 목소리를 내왔던 이들의 분노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는 크다.


10만을 목표로 하는 11월 14일 민중총궐기 집회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역별 민중총궐기 집회가 30일 저녁에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


전라북도는 전주시 중앙시장 앞에서 오후 5시에 열렸다. 2015 민중총궐기 전북준비위원회가 준비한 이번 집회에는 노동자와 농민, 장애인 등 각계각층의 약 700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했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42273.jpg

30일 오후 전북 전주시 중앙시장 앞에서 노동계와 농민들이 주최한 민중총궐기 전북대회가 열렸다. 이날 전북대회는 오는 11월 14일 예정된 전국 민중총궐기 대회를 앞두고 열렸다.


“박근혜 정권, 멈추자”


이날 집회에서 발언자들은 11월 14일 서울에서 열리는 민중총궐기 집회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 박근혜 정권을 심판하자고 호소했다. 이 자리에서 ‘박근혜 정권 퇴진’이라는 말은 더 이상 생소한 구호가 아니었다.


세월호 풍남문 농성장 시민지킴이로 활동하는 시민 ‘송천동엄마’(여, 46세)는 “시원시원한 집회였다”며 “박근혜 정부와 세월호 참사는 뗄 수 없는 문제다. 박근혜 정권이 퇴진하지 않는 상황에서 세월호 참사의 진상은 밝혀질 수 없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1년이 넘었다.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지난 8월부터 전주 풍남문광장(기억의 광장)에 설치된 전북지역 세월호 농성장은 현재까지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운영되는 이 농성장의 지킴이들은 이날 집회에 함께했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12232.jpg

전주 풍남문광장(기억의 광장)에 설치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농성장을 담당하는 세월호 시민지킴이들도 이날 집회에 함께했다.


박근혜 정권 아래 일어난 대규모 참사.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정권은 무능을 보여줬다. 진상을 규명하려는 움직임에는 ‘비협조’로 답했다. 여전히 그 진상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세월호 참사는 더 이상 ‘사고’가 아니라 ‘기획된 살인’이라는 의견도 높다. 지킴이들은 박근혜 정권 퇴진이라는 구호는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구호라고 말했다.


전북준비위원회가 작성한 민중총궐기 전북대회 투쟁결의문은 “온 민중을 절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정권을 멈추기 위해”라는 말로 끝을 장식했다.


OECD 국가 중 노동시간 1위, 자살률 1위, 행복지수 최하위, 가장 낮은 최저임금. 삶의 질을 규정하는 모든 통계가 ‘절망’을 떠오르게 하는 속에서 노동자·농민들의 분노는 어쩌면 당연한 일. 벌써 5년 가까이 회사와 투쟁을 하고 있는 한 장기 투쟁사업장 노동자 B씨는 “우리는 계속 밀리고 있다. 무언가 큰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박근혜 정권 퇴진이라는 구호가 현실적으로 느껴지려면 실천과 조직이 필요하다. 예전 민주화 투쟁 당시 노동자들이 선봉에 섰던 것처럼 이제는 정말 노동자들이 자기 현실에 대한 위기감을 가지고 움직여야 한다”


B씨는 ‘민중총궐기’ 집회가 정말 세상의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일을 멈추는 총파업처럼 강력한 힘을 갖기를 원했다. 그러나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 그래서 B씨는 ‘박근혜 정권 퇴진’이라는 구호에 동의하면서도 녹록치 못한 현실에 대한 마음도 감추지 못했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10412.jpg

민중총궐기 전북대회 집회가 끝나고 깃발을 든 참가자가 행진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참가자들은 약 1Km 떨어진 새누리당 전북도당까지 행진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 강문식 교선부장은 “박근혜 정권은 오는 12월까지 노동개악 의제들을 통과시키려고 계속 압박할 것이다. 단순히 11월 14일 민중총궐기 투쟁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후, 노동개악을 저지하기 위해서 더 큰 투쟁과 규모의 총파업 투쟁도 포기하지 않고 조직할 것이다”고 말했다. 노동자들의 삶은 갈수록 어렵지만, 당장 목줄을 조여 오는 각종 노동정책들의 저지 투쟁은 멈출 수 없다고 강 국장은 말했다.


농민들도 벼랑 끝에 몰린 것은 마찬가지다. 이날 투쟁결의문에서는 “무분별한 시장 개방으로 쌀 농업을 위기에 빠트렸고, 농민은 벼량 끝으로 내몰리고 식량주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언급됐다.


전북 부안의 농사꾼 차동헌(남, 59)씨는 “풍년이라고 농민들은 웃지를 않는다”며 “쌀 소비도 줄어드는 상황에서 수입쌀을 늘린다고 하니 떨어지는 쌀값으로 농민들은 굶어죽을 지경이다”고 말했다. 밥쌀을 짓는 농민들이 굶어죽을 것 같다는 말을 뱉는다.


논 농사가 아니라 아스팔트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차씨는 오는 11월 14일 서울에서 열리는 민중총궐기 집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민중들의 국민투표소, “이 땅의 ‘을’들은 어서어서 투표하세요”


집회 현장 한쪽 구석에서는 간이 투표소가 생겼다.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이 ‘개혁’인가, ‘쟁앙’인가를 묻는 국민투표 운동이다. 집회에 참가하는 시민들이 한 번씩 들러 투표를 한다. 비밀투표라 이들이 어디에 찍었는지는 알 수 없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09927.jpg

시민사회가 직접 준비한 '을의 국민투표' 운동도 이날 집회에서 함께 진행됐다. '을의 국민투표'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해 찬반을 투표 형식으로 묻는 운동이다.


이날 투표소를 설치한 이주철(남, 37)씨는 “한국사회에서 노동자들의 위치는 언제나 ‘을’이었다”면서 “‘을’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제대로 할 수 없었고, 특히 노동정책들은 당사자인 ‘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됐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주의는 투표의 힘으로 표출되는데, 정작 대다수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노동개악으로 표현했다)은 국민들에게 의견을 묻지 않았다”며 “이렇게 시민사회가 모여 ‘을’들에게 묻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씨는 이처럼 선거관리위원회가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사회가 관리하는, 어떻게 보면 캠페인이라고 볼 수 있는 ‘을의 국민투표’ 운동이 존재하는 것은 박근혜 정부가 서민 배반적이며 반 민주적인 사회인지를 보여주는 가늠자라고 표현했다.


이 국민투표는 지난 10월 7일 시작해서 오는 11월 12일 끝을 맺는다. 국민투표운동본부 홈페이지에 소개된 투표함 수는 전국의 404곳. 전북지역에는 군산과 김제, 전주에 설치됐다.


“민주노총의 투쟁에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어요”


이날 집회에 참여한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전주대/비전대 청소노동자들도 집회에 참석했다. 지난 2012년부터 6차례의 파업을 벌였다. 최저임금도 미치지 못하는 80여 만원이 월급이라고 받던 때도 있었다. 청소노동자인데, 학교와 사측은 김치 담그는 행사에 동원하는 등 노조가 있기 전에 말 못할 고충이 컸다. ‘노동자’의 ‘노’자도 잘 모르던 시절, 어색한 ‘투쟁’이라는 구호가 이제는 익숙하다.


강넬랴(여, 50)씨는 “민주노총의 투쟁에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어서 이렇게 나왔다”면서 “나는 이제 더 바라는 것은 없지만, 우리 자식들을 생각하며 투쟁에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09591.jpg

민주노총의 투쟁에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다는 청소노동자 강넬랴씨.


당신 자녀세대는 더 삶이 어려울 것 같냐는 질문에 “일자리도 없는 상황인데, 해고도 쉬워진다고 하면 어떻게 살겠나”며 “그래서 투쟁이 중요하다. 민주노총이 마지막 보루가 아니겠나”고 말했다.

전주의 한 중학교의 교사 이종관(남, 17년차)씨는 “정부가 교사는 안 뽑고, 기간제와 시간제 교사로 교실을 채우려고 한다”며 “1년 단위로 늘고 있다. 교사 수가 점점 부족해 수업 시수는 점점 늘고 있다. 그리고 상담 업무에 각종 업무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에 집중할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목소리도 낼 수 없는 것이 교사다. 교사도 노동자라며 헌법에 보장된 정치적 자유를 누리고자 하지만, 정부는 막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법외노조다. 최근 역사 국정화 문제 관련하여 시국선언에 동참한 교사들을 찾아내어 징계하겠다는 정부. 이런 분위기에서 교사들도 ‘민중총궐기’에 함께하겠다고 이날 거리로 나왔다.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11339.jpg

역사 국정교과서, 밥쌀 수입, 노동개악이라는 단어가 적힌 조형물. 이 조형물은 새누리당 전북도당 앞에서 불에 타 사라졌다.


“민중총궐기 통해 가슴 속 한 풀고 싶다”


이날 집회에는 대학생들도 눈에 띄었다. 전북대 4학년 손종명(남, 22)씨는 “박근혜 정권은 청년 일자리를 만든다고 하면서 기존의 노동 조건을 악화하고 있다”며 “청년의 이름을 팔아 노동자들의 삶을 짓밟고 있다”고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해 비판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정말 청년들이 무엇 때문에 힘든지 모른다. 박 대통령은 ‘청년’을 말하지만, 그것은 거짓말이다”


먹고 살려면 취업을 해야 한다. 취업의 문은 바늘구멍처럼 좁다. 어렵게 들어간 회사, 신분은 비정규직이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고자 한다. ‘쉬운 해고’, 들어가기는 어려워도 잘리기는 쉽다. 이 악순환을 반복해서 겪다보면 청춘은 어느새 끝이다. 손종명씨는 어떤 것이 좋은 변화인가를 묻는 질문에 단순하게 답한다.


“먹고 사는 것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 좋은 일자리를 박근혜 정부는 만들고자 노동계가 ‘노동개악’이라고 부르는 ‘노동개혁’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날 집회 현장을 취재하며 이 질문에 답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올해 12년차 시내버스 기사 김영호(남, 50)씨는 “운전 하다보면 자식 가르치기 너무 힘들다고 말을 푸는 어르신들을 종종 만난다”며 “가슴 속에 쌓인 한을 풀 수 있는 자리가 ‘민중총궐기’와 같은 큰 집회가 아닐까한다. 현 정부 들어 너무나 서민들 살기가 힘들다”고 털어놨다.


‘민중총궐기’ 집회 하나로 세상이 바뀔 수는 없다. 그렇지만 이 날 집회에서 만난 노동자들은 저마다 바람을 가지고 자리에 앉아 있었다. 교사는 헌법의 권리를, 버스노동자는 가슴 속 한을, 장기투쟁사업장 노동자는 정말 세상을 멈출 강력한 투쟁을, 청소노동자는 미래세대만은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기를.


사진KakaoTalk_20151030_231610856.jpg

민중총궐기 전북대회가 끝나고 거리 행진에 나서는 참가자들


이런 바람들이 모이는 11월 14일 민중총궐기를 시작으로 노동계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 의제를 저지하는 투쟁을 준비한다. 이기권 노동부장관은 올해 ‘노동개혁’ 의제가 입법화되지 못하면 총선 등의 영향으로 폐기될 수 있다며 입법 의지를 밝히고 있다. 일반해고 완화와 같은 정책을 ‘노동개혁’이라고 부르는 정부의 엔진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Articles

3 4 5 6 7